로렌스 리차즈의 기독교 교육 방법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7 07:53
본문
Download : 로렌스 리차즈의 기독교 교육 방법론.hwp
교회는 단지 예배 의식과 성례를 베푸는 데 있지 않다.
“ 우리가 삶의 방식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면 우리는 각 개인의 인격 전체에 관심을 두어야지 인격의 한 부분(지식 혹은 신념)을 통해 변화와 성장을 …(To be continued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로렌스 리차즈의 기독교 교육 방법론.hwp( 26 )
다. 그리고 우리의 신앙을 생명으로 이해하는 여기서부터 신학적으로 분명하고 건전한 기독교 교유학을 발전시킬 실마리가 있다아 집단적으로 교회를 다른 인간이 참여하는 어느 집단이나 기관과 구별하는 것은 생명이다. 그러므로 리차즈는 교회 그 자체로는 그다지 의미를 갖지 않는 것으로 본다. 이것은 ‘생명’을 신앙의 특징으로 인식하고 신자의 영생에 이르는 성장을 돕는 것이 기독교 신학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회에 대한 定義(정이)를 리차즈는 다음과 같이 定義(정이)한다.
순서
로렌스 리차즈의 기독교 교육 방법론
로렌스리차즈
로렌스 리차드는 기독교 교육의 학교식 모델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을 직시하면서 그의 신학 위에서 일관되고 유용한 방법들을 제시했던 학자로 그의 기독교 교육 방법론에 대해 알아본다.”
이러한 定義(정이)는 기독교 교육이 개인이 삶만을 따로 다룰 수 없고 그리스도 안에서 개인적, 집단적 성장을 가져다 주는 몸안의 과정에 교육적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요10:10의 예수의 말씀 속에 표현된 ‘생명’이 리차즈의 교육신학을 대표하는 핵심진리이다. 교회는 하나의 기관이 아니라 살아 있는 유기체이다. 로렌스 리차드는 기독교 교육의 학교식 모델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을 직시하면서 그의 신학 위에서 일관되고 유용한 방법들을 제시했던 학자로 그의 기독교 교육 방법론에 대해 알아본다. 그의 비판은 기독교 교육의 대부분은 교회 구성원들의 인지 측면의 지식을 늘리는데 교육적 관심을 두어 왔고 반면 한 개인의 인격과 삶 전체를 다루어야 한다는 점이 무시되어 왔다고 비판하면서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신적인 생명을 나눈 사람들의 공동체로서 교회는 인간의 다른 기관과 구분된다된다. 전체로서의 교회의 존재의미는 ‘그리스도 개개인을 양육하는 기능’에 있다는 것이다. 로렌스리차즈 , 로렌스 리차즈의 기독교 교육 방법론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첫째로 생명이라는 단어는 그의 신학적 사고인 ‘교회론’에 기초한 교육신학에서 그가 교회를 定義(정이)하는 결정적인 속성 과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잘 나타내주는 단어라 할 수 있다아 리차즈는 개인은 성장하며 이 생명이 그의 삶에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이다.
둘째, 리차즈는 교회가 교육계획을 세움에 있어서 생명(인격)전체를 다 고려하지 않음으로 인해 ‘전인’에 초점을 둔 균형잡힌 교육 사역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비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