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의 concept(개념)과 형식 및 주요 민요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5 06:35
본문
Download : 민요의 개념과 형식 및 주요 민요권.hwp
특정한 창작자를 의식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이루어져 민중 생활 감정을 소박하게 반영하고 때로는 국민성, 민족성을 나타내기도 한다.그리고 3박자 계통의 민요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춤을 추며 부를 수 있는 민요가 많이 있다아그리고 민요는 주고 받는 민요가 많이 있는데 그 중에 대부분은 노동요이다.
2. 민요의 형식
원래 장단이나 짜임새가 없는 것이 특징이지만 널리 불려지는 통속 민요는 모두 장단이 짜여 있다아 `3분박 4박자`가 한장단을 이루는 타령 장단이 기본이고 이 계통의 장단에는 타령. 볶는 타령. 굿거리.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등이 있다아3분박 4박자란 하나의 박자가 3개로 나누어 지고 그러한 것이 4개 가 모인 박자를 말한다.
또한 우리 민요에는 대개 같은 가락의 사설을 1절, 2절로 바꾸어 부르는 유절형식이 많고 흔히 후렴이 붙는다.
순서
민요의 concept(개념)과 형식 및 주요 민요권
레포트/법학행정
민요,개념과,형식,주요,민요권,법학행정,레포트
민요의 concept(개념)과 형식 및 주요 민요권
민요의 개념(槪念)과 형식 및 주요 민요권
1. 민요의 개념(槪念)
쉽게 말해 민요는 민중 속에 전승되어 온 가요이다.주고 받는 민요는 쾌지나 칭칭 나네 뱃노래 강강술래 옹헤야등이 있다아
3. 민요권의 구분
서도, 동부, 경기, 남도, 제주민요권으로 나눌수 있다아
1) 서도민요
황해도, 평안도 지방의 민요를 얘기한다. 강원도는 원모리등 규칙적인 장단을 사용한다. 세마치나 굿거리…(생략(省略))
Download : 민요의 개념과 형식 및 주요 민요권.hwp( 84 )
설명


민요의 개념과 형식 및 주요 민요권 , 민요의 개념과 형식 및 주요 민요권법학행정레포트 , 민요 개념과 형식 주요 민요권
다.경상도는 빠르고 힘찬 장단을 사용하며 잔 기교가 없다. 서울 경기 지방부근의 민요이며 범위가 넓은 편이다. 음색이 얇고, 소리를 잘게 떨어주며 콧소리를 낸다. 대표적 작품으로는 ‘한오백년’‘정선아리랑’‘쾌지나 칭칭나네’등이 있다아
3) 경기민요
서정적이고 부드러우며 밝고 경쾌한 느낌이다.대개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집단으로 제례나 노동을 할 때 부르기 처음 한 노래로서, 노동을 하면서 일이 힘들지 않도록 하기 위한 민요가 많다. 구전음악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수심가’,‘배따라기’,‘몽금포 타령’등이 있다아
2) 동부 민요
함경도, 경상도, 강원도귄의 민요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