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분류의 새로운 대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8 07:28
본문
Download : 품사분류의 새로운 대안.hwp
이러한 씨끝들은 기원적으로 이음씨 끝이지만 일반적인 접속문을 형성하지 못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아 그래서 학교문법에서는 흔히 이를 ‘부사형 씨끝’이라 부르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부사형 씨끝이 아닌 마침법의 씨끝이 오는 수도 있다아 통사적으로는 이른바 완형보문이 온다고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누가 오는가 싶어 나와 봤다’에서 보듯이 보조형용사 ‘싶다’ 앞에 ‘누가 오는가’와 같은 절이 오…(투비컨티뉴드 )
품사분류의 목적과 기준 분류에 대해 알아보고 품사분류의 새로운 대안에 대해 모색한 자료입니다.
설명
다.
인구어의 보조동사는 본동사와 형태적으로 구별되어 있되, 보조동사가 본동사 앞에 위치하는 것이 보통이나, 한국어의 보조용언은 본동사 뒤에 오면서 특정이 씨끝만을 허용하는 통사적 제약이 있다아 예를 들어 ‘주다’나 ‘보다’는 ‘-어’, ‘있다’는 ‘-어’나 ‘-고’, ‘되다’는 ‘-게’, ‘않다’는 ‘-지’ 등을 허용한다.품사분류대안 , 품사분류의 새로운 대안인문사회레포트 ,
품사분류의 목적과 기준 분류에 대해 알아보고 품사분류의 새로운 대안에 대해 모색한 reference(자료)입니다.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품사분류의 새로운 대안.hwp( 26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품사분류의 새로운 대안
품사분류대안
명사와 마찬가지로 동사나 형용사도 의존적인 경우가 있어 특정 씨끝 다음에만 한정되어 쓰이는 경우가 있다아 한국어 문법에서는 이를 ‘보조동사’나 ‘보조형용사’로 부르고 있다아 이들 보조용언들은 기원적으로 본동사로부터 발달한 것으로서, 그 본래적 의미가 약화되거나 문법적 의미로 변질된 것들이 대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