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석촌동 적석총의 재검토 - 축조 세력과 관련하여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16:27
본문
Download : 서울 석촌동 적석총의 재검토 - 축조 세력과 관련하여 -.hwp
더욱이 ꡔ…(省略)
레포트/경영경제
서울 석촌동 적석총의 재검토 - 축조 세력과 관련하여 -
Download : 서울 석촌동 적석총의 재검토 - 축조 세력과 관련하여 -.hwp( 43 )
다.
순서
설명






서울석촌동적석총의재검토(축조세력과관련하여) , 서울 석촌동 적석총의 재검토 - 축조 세력과 관련하여 -경영경제레포트 ,
,경영경제,레포트
서울석촌동적석총의재검토(축조세력과관련하여)
Ⅴ. 맺는 말
대부분이 추정에 불과하지만 서울 석촌동 적석총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한 이해를 가질 수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석촌동의 적석총은 가장 이른 시기에 조영된 것으로 이해하는 3호분이 5세기 중반~6세기초에 조영된 것으로 편년 할 수 있다아
또한 한성시대 백제는 토광묘가 주된 묘제일 것으로 본다.
3세기 중엽에서 백제의 웅진 천도 이전에 축조된 것으로 이해해 왔던 석촌동 적석총의 편년은 재고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5세기 중반에서 6세기초에 걸쳐 고구려에 의해 축조된 것으로 보이는 적석총에 의해 파괴되는 시기까지 토광묘가 사용되었다. 토광묘 출토품의 성격으로 볼 때, 그 축조 세력은 동진과 교역을 하였으며, 고배 등 제사와 관련한 유물을 가지는 것으로 보아 국제 교역과 왕실의 권위를 입증하는 제사를 지낼 수 있는 존재였을 것이다. 편년의 근거가 되었던 동진 자기편이 교란된 상태에서 출토되었으며, 석촌동 3호분의 동쪽에서 확연히 드러난 층위를 통해서 볼 때 동진 자기편을 부장유물로 가진 것이 토광묘이므로 이것은 토광묘의 편년을 구명하는 자료(data)로 이용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