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사전의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1 23:39본문
Download : 우리말 사전의 고찰.hwp
하지만 지금까지의 사전들은 이런저런 drawback(걸점)들을 가지고 있다고 이야기되어진다.)
본론
1.각 사전에서 단어의 뜻풀이를 비교해 보자
①손
다섯 개의 사전모두 사람의 손목 끝에 달린 부분이라는 뜻이 가장 처음에 나와 있다 그리고 두 번째 뜻은 모두 손님이라는 뜻으로 되어있다 세 번째 뜻 역시 날수에 따라 사방을 돌아다니며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는 귀신이라는 뜻으로 다섯 개의 사전에서 거의 일치하게 쓰여 있다 네 번째 뜻부터는 달라지기 처음 하는데 새우리말 큰사전, 우리말 큰사전, 국어대사전에는 성(姓)의 하나로 연세 한국어 사전에는 자손이라는 뜻으로 조선말대사전에는 손아랫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라고 풀이되어 있다 새우리말 큰사전에는 그 외에 후손, 손괘(손방, 손시), 손해, 손아랫사람, 물건을 한번 집어내면 사용하는 단위, ‘치더라도’와 어울려 양보의 뜻을…(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우리말 사전의 고찰
우리말사전고찰
우리말 사전의 고찰
우리말 사전의 고찰우리말사전고찰 , 우리말 사전의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우리말 사전의 고찰.hwp( 34 )





다.설명
순서
서론
대부분의 사람에게 있어서 사전은 모르는 단어를 찾아보는 것 이상이 아니지만, 사실 사전은 그 이상의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 완성된 단일어 사전이라고 볼 수 있는 ‘조선어 사전’의 편찬을 발기할 때 발표된 글을 보면, 그 목적이 단순히 모르는 말을 찾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어의 어문을 정리(整理) 하고 통일하여 보존, 발전시키는 것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사전은 단순히 그 뜻을 알게 하는 데만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말과 글을 보존하여 지금에 이르게 되었으며 계속 우리의 말과 글을 지켜가야 하는 것이다. (표준 국어 대사전의 ’바람‘과 ’손‘은 찾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의 주요 사전들을 `손‘, ’바람‘, ’치다‘, ’감사하다‘, ’김‘, ’걸다‘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drawback(걸점)을 지적하여 더 나은 사전을 만들 수 있는 기반으로 삼으려 한다. 사전은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신기철·신용철, `새우리말 큰사전`, 이희승, `국어대사전`, 사회과학원, `조선말대사전`(평양),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한국어사전`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을 대상으로 삼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