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1 10:57본문
Download : ●거문고.hwp
소리는 깊고 꿋꿋하며 장중하고 남성적이어서 예로부터 백악지수(百樂之首)라 하여 선비들이 음악의 도를 닦는 그릇으로 소중히 여겨 왔다
명칭 및 originate
본래 4현 17괘였으나 지금은 6현 16괘로 바뀌었다.
통나무 통에 명주실 여섯을 매어 술대로 뜯는 악기로, 줄풍류를 비롯하여 가곡반주산조에 쓰인다.
특징 및 구조
…(To be continued )
레포트/기타
설명
다.
진나라 이전 고구려 고분벽화에 거문고 원형으로 보이는 악기가 있으므로 거문고는 그 이전부터 원형이 고구려에 있던 것 같다고 하는 설도 있다아 거문고는 신라에 전해져서 신라인 옥보고(玉寶高)가 지리산에서 50년 동안 수련한 끝에 30곡을 지어 속명득(續明得)에게 전하고 속명득은 귀금선생에게, 귀금선생은 안장(安長)과 청장(淸長)에게, 안장은 극상(克相)과 극종(克宗)에게 가르쳤다고 한다.



●거문고
Download : ●거문고.hwp( 33 )
●거문고 , ●거문고기타레포트 , ●거문고
●거문고,기타,레포트
●거문고
순서
거문고
거문고는 낮고 중후한 소리부터 높은 소리까지 넓은 옥타브의 소리를 내는 한국의 전통 현악기이다. 칠현금은 있으나 연주할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음을 왕이 슬퍼하자, 왕산악이 그 주법을 바꾸고 100여곡을 작곡하여 바치며 왕 앞에서 연주하니, 이윽고 검은 학이 날아들었다는 것이다.
거문고 명칭이 현학금에서 나왔다는 《삼국사기》 기록과는 별도로, `거문고`는 `검은고`로 고구려금(高句麗琴)이라고 해석하는 설도 있다아 고구려의 옛 이름인 ‘검’, ‘곰’과 현악기를 뜻하는 ‘고’가 합쳐져 만들어진 말로서 ‘고구려의 현악기’라는 뜻으로 불렸다는 것이다. 현학금(玄鶴琴), 현금(玄琴)이라고도 한다, 증보문헌비고에 의한 악기 분류법 중 사부(絲部)에 속한다. 극종은 7곡을 짓고, 극종 뒤에는 세상에서 거문고를 하는 이가 많았다고 한다. 이를 ‘현학금(玄鶴琴)’이라 부르다가, ‘검은(학)고’, ‘거문고’로 불린다고 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왕산악(王山岳)이 china 악기인 칠현금(七絃琴)을 개조하여 거문고를 만들었다. 왕산악이 지은 백여곡은 곡명도 전해지지 않으며, 옥보고가 지은 상원곡(上院曲)중원곡(中院曲)하원곡(下院曲)남해곡(南海曲) 등 30곡은 이름만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