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처리를 이용한 농산물의 자동 선별시스템 연구 동향에 대한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9:25본문
Download : 최종논문2.hwp
풋고추의 재배면적은 시설채소 면적이 증가하면서 연중 생산이 가능하게 되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신선 채소류에 대한 선호도가 늘어나면서 풋고추의 소비량이 늘어나고 있다아 현재 풋고추의 길이와 굽은 정도 등을 기준으로 선별 출하되고 있다아 그러나 풋고추의 선별작업은 전적으로 인력에 의존하므로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며 작업능률이 낮고 육안에 의존하기 때문에 정확한 크기선별이 곤란한 실정이다. 또, 국내의 주요 과일인 사과나 배의 경우 그 가격은 선별 작업의 결과에 따라 상당히 큰 폭의 차이가 있으므로 농산물 선별에 대한 중요성 또 한 매우 강조 되고 있다아 사과, 배와 같은 과실류에 대하여 기계시각을 이용하여 크기와 형상을 판정하는 연구가 국내에서도 활발히 추진되어 왔다( 조남홍 등, 2001). 크기 판정에 있어서는 투영 단면적을 측정하여 과실의 중량 또는 부피를 측정하여 선별 기준을 세우고 상품을 등급별로 나누어 선별하였다. 예를 들면 고추는 원예작물 가운데 가장 많은 재배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 식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채소이다. 같은 부류의 학사 논문을 작성 하실때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또 최근 10-15년간 농림부나 농산물 관련 주요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몇몇은 작물에 대해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등급을 분류 및 품질 판정하는 instance(사례)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설명
영상처리를 이용한 농산물의 자동 선별시스템 연구 동향에 대한 조사
참고로 서지사항에 해외reference(자료)를 써넣었던 파일이 삭제 되어서 그 전에 수정하였던 파일입니다.
영상처리를 이용한 농산물에 대해 자동 선별시스템에 대한 조사입니다.
Download : 최종논문2.hwp( 50 )
Ⅰ. 서 론
국내 농산물 가격의 불균형과 공급과잉에 따른 처리 등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농산물의 대외 수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농산물 선별시스템에 대한 자동화의 필요성(必要性)이 증가 되고 있다(이병선 등, 2004). 원예 농업 중에서는 가장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은 수확된 농산물을 선별하는 작업이다. 분류의 첫 번째 기준은 우리가 자주 소비하는 농산물 (홍삼, 고구마, 계란, 토마토 등) 인지를 판가름하며, 두 번째로 분류된 농산물이 과일류, 곡류, 채소류, 특용작물, 난류 로 나누어 분류 한다.
다. 또한 고추의 선별 · 포장 작업의 기계화 요구도가 높다. 참고로 참고문헌에 해외자료를 써넣었던 파일이 삭제 되어서 그 전에 수정하였던 파일입니다. 붉은 고추는 조미료용으로 풋고추는 비타민 C와 카로틴 함량이 높아서 생식용으로 주로 소비되고 있다아 고추 전체재배 면적 중 풋고추의 재배면적 비율은 매년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붉은 고추 재배면적의 비율은 비슷하거나 다소 감소하는 추세이다. 마지막으로 농산물에 대해 사용하는 분류 기법 중 가시광선근적외선의 반사스펙트럼의 차이로부터 분류하는 분광analysis기법과 CCD 카메라로 획득된 영상농도 차이를 이용한 영상처리analysis 기법 에 대해 최종적으로 분류한다.
영상처리를 이용한 농산물에 대해 자동 선별시스템에 대한 조사입니다.
서식 > 기타
순서
영상처리, 영상, 농산물, 자동 선별, 선별시스템, 연구동향





같은 부류의 학사 논문을 작성 하실때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하여 선행 연구의 問題點과 향후 진행하게 될 연구방향에 기준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렇게 분류된 논문 및 주요 학술지에 대해 주요 내용만을 추출하여 간략하게 정리(整理) 및 요약한다. 이런 논문들이나 농산물에 관련된 잡지, Internet 등 여러 매체를 통해 를 충분히 검색 및 검토해 보고, 여러 를 모아 분류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