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과기술] 연경당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05:42본문
Download : 연경당.hwp
<연경당 평면도>
-본문내용-
실내의 바닥
다.
연경당
연경당은 순조 28년(1828)에 순조의 왕세자인 익종의 청으로 사대부 집을 본떠 창덕궁 안에 지은 99칸 집이다. 사진도 같이 첨부 되어있습니다.전통주택의 바닥을 구성하고 있는 온돌과 마루는 각기 상반된 속성 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다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융통성을 가진 공간으로 발전하여 전체적인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아 따뜻하게 불을 지필 수 있는 온돌방은 폐쇄공간이며 반대로 마루는 시원하게 트인 개방 공간이다. 연경당은 안채, 사랑채, 안행랑채, 바깥 행랑채, 서재인 선향재, 반빗간, 농수정이라는 이름의 정자 등 여러 채(건물), 그리고 그것들과 각각 짝을 이루는 마당으로 구성된다된다.
순서
1884년 갑신정변 때 청나라 군대에 쫓긴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등의 개화파 수뇌들이 고종 임금을 모시고 잠시 연경당으로 피신한 일이 있었고, 명성황후께서 고종 32년(1895) 경복궁 안의 건청전에서 일본인들에게 암살되기 바로 2개월 전인 6월에 이곳 연경당의 넓은 앞뜰에서 내외 귀빈들에게 원유회를 베풀기도 했다.
Download : 연경당.hwp( 27 )
대청은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의식과 권위를 표현하는 상징적인 공간이며 외부와 각방을 연결하는 전이공간으로 주로 남쪽을 향해 있다아대청은 공간구성상 사랑채와 안채의 중심을 이룬다.
[공과기술] 연경당





순조는 아들 효명세자에게 대리청정을 시키고는 자신은 가끔씩 이곳에 와서 지냈다고 한다. 사랑채엔 안채가 이어져 있고 사방에 행랑들이 설비되어 있다아 이른바 아흔 아홉간집의 구성이 완비되어 있어 당시 사대부 주택을 잘 보여주며 한국 주택사나 생활사등 여러 측면에서 귀중한 reference(자료)가 되고 있다아 연경당이 일반 사대부가와 다른 점은, 그것이 궁궐 안에 지어졌기 때문에 사당을 두지 않았으며, 안채 건물에는 부엌이 없고 대신 안채의 후면에 음식을 준비하는 반빗간이 설치된 것이다. 다들 좋은 점수 받으세요^^
설명
또한 1917년에 창덕궁의 내전인 대조전이 화재를 만났을 때 순종 황제와 윤황후께서 한때 이곳으로 피신하기도 하였다. 사진도 같이 첨부 되어있습니다.
다들 좋은 점수 받으세요^^
실내의 바닥
연경당에 대해서 조사 정리 한것입니다...(중략)
온돌
목차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연경당 , 온돌 , 실내
연경당에 대하여 조사 요점 한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