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4대사화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4 04:51
본문
Download : 조선시대 4대사화에 대하여.hwp
조선 개국 이래 역대의 임금이 문치에 힘을 쓰고 유학을 장려했기 때문에 우수한 학자가 많이 배출되고, 선비사회, 즉 유림은 활기에 차 있었다. 그러나 세조∼성종 때에 이르러 그들 사이에 사상·감정·지역관계 등으로 여러 파벌이 생겼는데, 이중에는 뜻이 상통하는 파도 있었으나 서로 대립·반목하는 파도 있었다.
사림파는 경상도 밀양 출신인 김종직을 중심으로 한 일파이다. 훈구파는 조정이 요직에 있어 세조∼성종 시대의 여러 가지 관찬사업, 즉 조정에서 간행하는 서적 편찬에 큰 공헌을 한 사람들이며, 따라서 한 나라의 문화 발전에 이바지하였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많은 이용 부탁 드립니다ㅋㅋㅋㅋ A+++을 향해~!!!!
조선시대 4대사화에 대하여
*사화
사화란 조선시대에 조신 및 선비들이 반대파에게 몰려 화를 입은 사건을 말한다. 이를 네 파로 나누면 훈구파·절의파·사림파·청담파 등이다. 또 그들의 녹전은 주로 경기도·충청도에 있었기 때문에 지역적으로 볼 때, 이들은 기호파이고, 김종직과 그의…(To be continued )
많은 시간 공들여서 만든 작품인 만큼 좋은 평가 받았으면 좋겠구요~~강의를 듣는 모든 학생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많은 이용 부탁 드립니다ㅋㅋㅋㅋ A+++을 향해~!!!! , 조선시대 4대사화에 대하여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사 사화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레포트/인문사회






강의를 듣는 모든 학생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순서
설명
한국사,,사화,,무오사화,,갑자사화,,기묘사화,,을사사화,인문사회,레포트
많은 시간 공들여서 만든 작품인 만큼 좋은 평가 받았으면 좋겠구요~~
Download : 조선시대 4대사화에 대하여.hwp( 68 )
다. 사림파의 중심인물인 김종직은 동방성리학의 정통을 이어받은 대학자로서 그의 제자 중에는 김굉필·정여창·조위,김일손,유호인 등이 있었다. 그러므로 훈구파에 있어서 정면의 적은 사림파였다.
절의파는 세조의 왕위계승을 절대반대한 김시습 등의 생육신을 중심으로 한 파이다.
특히, 1498년(연산군 4)~1545년(명종 즉위)에 일어난 네 목차의 사화를 4대사화라고 하는데 그 중의 훈구파는 세조가 왕위에 오르는 것을 도와 높은 지위와 많은 녹전을 차지한 일파인데, 정인지,최항,이석정,양성지,권람,신숙주,강희맹,서거정,이극돈 등이다.
조선시대 4대사화에
대하여
*사화
사화란 조선시대에 조신 및 선비들이 반대파에게 몰려 화를 입은 사건을 말한다. 그러나 세조∼성종 때에 이르러 그들 사이에 사상·감정·지역관계 등으로 여러 파벌이 생겼는데, 이중에는 뜻이 상통하는 파도 있었으나 서로 대립·반목하는 파도 있었다. 이를 네 파로 나누면 훈구파·절의파·사림파·청담파 등이다.
조선 개국 이래 역대의 임금이 문치에 힘을 쓰고 유학을 장려했기 때문에 우수한 학자가 많이 배출되고, 선비사회, 즉 유림은 활기에 차 있었다.
청담파는 china(중국) 의 죽림칠현을 본떠 서울 동대문 밖 죽림에 모여 고담준론으로 세월을 보낸 일파로서 남효온,홍유손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세조의 찬역을 못마땅하게 여기는 점에서는 절의파와 일맥상통하지만 적당한 기회를 얻으면 조정이 요직에 들어가 포부를 펴보려는 점에 있어서는 절의파와 생각을 달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