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교육] 잠재적교육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21:11본문
Download : 잠재적교육과정.hwp
Giroux(1983)에 의하면 1980년대 초기까지 잠재적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결과들은 전통적 접근방식, 자유주의적 접근방식, 급진적 접근방식, 비판적 접근방식이라는 네 가지 단계를 거치면서 발전해 왔다고 한다. 국내엔 황정규(1972), 김호권(1974)등에 의해 concept(개념)이 紹介(소개)되었고, 김종서(잠재적 교육과정, 1976; 잠재적 교육과definition theory 과 실제, 1987)에 의해 단행본이 출판되었으나 계속적인 논의는 미미한 실태이다. 1970년 미국교육협회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이 출간되었고, 그 후에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신교육사회학적 관점과 갈등론적 관점에 관한 연구가 되어 왔다.
(2) 갈등론적 관점
잠재적교육과정
1. 잠재적 교육과definition concept(개념)
3. 잠재적 교육과definition 학문적 정체성
7. conclusion
⑴ 기능론적 관점
⑴ 교육과정 concept(개념)의 광의성
잠재적교육과정
6. 체육의 잠재적 교육과정
② 코스의 내용으로 보는 입장
다. ② ‘잠재적’이라는 용어의 concept(개념) 분석
설명
⑵ 잠재적 교육과definition definition
*R.S Zais
잠재적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1) 잠재적 교육과정 concept(개념)의 모호성
① 연구의 계획으로 보는 입장
③ 계획된 학습경험으로 보는 입장
① 교육과정 concept(개념)의 광의성
1. 잠재적 교육과definition concept(개념)
4. 영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잠재적교육과정.hwp( 17 )
5,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
2.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관점
(3) 해석학적 관점
⑴ 잠재적 교육과정 concept(개념)의 모호성





순서
[체육교육] 잠재적교육과정
1968년 P.W Jackson[Life in classroom]에 의해 잠재적 교육과정이라는 concept(개념)이 교육학계에 대두된 이래 외국에서는 잠재적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