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석 저자의 글쓰기 기술 줄거리 요약 및 感想文, 느낀점, 讀後感, 나의 견해, 나의 소감, 조사analysis(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2:07
본문
Download : 박종석 저자의 글쓰기 기술 줄거리 요.hwp
글쓰기는 노력과 함께 시간의 흐름에 갇힌 작업이기도 하다.
Download : 박종석 저자의 글쓰기 기술 줄거리 요.hwp( 57 )
9. 독특한 시각으로 글을 써라
제1강 책의 의미 1. 정보성과 가치 2. 책의 무용성 3. 책의 구성 4. 출판사의 고려 사항 제2강 실용적 글쓰기 1. 주술 근접 법칙을 기억하라 2. 접촉 법칙을 잊지 마라 3. 손가락 법칙을 사용하라 4. 세 가지 개념을 활용하라 5. 머리말에 주장을 써라 6. 근거는 확실하게 하라 7. 지식을 활용하라 8.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라 9. 독특한 시각으로 글을 써라 10. 기준점을 제시하라 제3강 설명문(說明文)과 물상(物像) 1. 최대한 쉬운 용어를 선택하라 2. 더 쉬운 설명을 위해 일상적인 비유를 찾아라 3. 비교, 대조의 시각을 가져라 4. 인과의 방법을 활용하라 5. 정의가 필요하다 6. 구분과 분류를 생각하라 7. 경험을 바탕으로 쓰라 제4강 눈증문(論證文)과 전제(前提) 1. 전제와 결론을 구별하라 2. 생각을 자연스런 순서로 나타내라 3. 신뢰할 수 있는 전제에서 시작하라 4. 구체적이고 간명하라 5. 감정이 실린 말을 피하라 6. 일관된 용어를 사용하라 7. 한 용어는 한 의미에 충실하게 사용하라 8. 예상되는 반박 논리를 생각하라 9. 근거의 한계를 받아들여라 10. 논증의 조건을 생각하라 제5강 묘사문(描寫文)과 생동감(生動感) 제6강 서사문(敍事文)과 사건(事件) 제7강 논술문(論述文)과 주장(主張) 1. 논술문의 구성(1): 주장, 근거, 사실 2. 논술문의 구성(2): 주된 문장+뒷받침 문장 3. 과학적 진실은 없다 제8강 수사적 글쓰기 1. 의인법 활용 2. 직유법 활용 3. 고전 속의 한자성어 활용 제9강 학술적 글쓰기 1. 소논문 작성 2. 논문 작성의 실제 제10강 글쓰기와 토론, 발표 1. 토론문 작성 2. 발표문 작성
1. 토론문 작성
4. 세 가지 개념을 활용하라
5. 감정이 실린 말을 피하라
8. 예상되는 반박 논리를 생각하라
10. 기준점을 제시하라
2. 접촉 법칙을 잊지 마라
4. 인과의 방법을 활용하라
순서
3. 손가락 법칙을 사용하라
하지만 글쓰기의 한 묶음인 책은 쉽게 완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책 한 권을 완성에 두고, 글쓰기를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글쓰기를 편의상 실용적 글쓰기와 수사적 글쓰기, 학술적 글쓰기로 나누어 보았다. 물론 구양수(歐陽脩)의 ‘삼다론(三多論)’은 뿌리에 해당하지만.
8.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라
2. 더 쉬운 설명(說明)을 위해 일상적인 비유를 찾아라
2. 발표문 작성
5. 정의가 필요하다
1. 전제와 conclusion 을 구별하라
2. 생각을 자연스런 순서로 나타내라
2. 논문 작성의 실제
6. 일관된 용어를 사용하라
4. 출판사의 고려 사항





3. 과학적 진실은 없다
10. 논증의 조건을 생각하라
5. 머리말에 주장을 써라
7. 경험을 바탕으로 쓰라
레포트 > 교육계열
제7강 논술문(論述文)과 주장(主張)
제10강 글쓰기와 토론, 발표
박종석 저자의 글쓰기 기술 줄거리,감상문,박종석
제3강 설명(說明)문(說明文)과 물상(物像)
1. 의인법 활용
3. 책의 구성
3. 신뢰할 수 있는 전제에서 시작하라
7. 한 용어는 한 의미에 충실하게 사용하라
설명
2. 책의 무용성
2. 논술문의 구성(2): 주된 문장+뒷받침 문장
제6강 서사문(敍事文)과 사건(事件)
1. 최대한 쉬운 용어를 선택하라
3. 비교, 대조의 시각을 가져라
9. 근거의 한계를 받아들여라
박종석 저자의 글쓰기 기술 줄거리 요약 및 感想文, 느낀점, 讀後感, 나의 견해, 나의 소감, 조사analysis(분석)
제8강 수사적 글쓰기
‘정말 글 잘 쓴다. 이 고민이 얼마나 가치 있는가는 더 생각해 볼 문제이지만 ‘글 쓰는 것’은 ‘책 쓰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논술문에서 머뭇거릴 수 없어 다시 비평 행위로 가는 도정에서 글쓰기에 대한 고민에 빠졌다. 글쓰기에 관한 theory 서는 서점과 도서관에 즐비함에도 불구하고 이 즐비한 도서 가운데 인상적인 theory 들을 실제 글쓰기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개하겠다.”는 그의 생각도 기억에 남는다. 이런 틀이 모든 글쓰기를 포함할 수는 없지만 두루 포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스티빈 킹(『유혹하는 글쓰기』)은 “글쓰기에 대한 책에는 대개 헛소리가 가득하다. 그래서 ‘실용적 글쓰기’와 ‘수사적 글쓰기’, ‘학술적 글쓰기’를 글쓰기의 중심에 놓은 것이다. 비평문학의 글쓰기인가, 보편적 글쓰기인가를 고민한 것이다. 왜냐하면 글을 쓰는 노력과 함께 시간이 공존해야 하기 때문이다.
제4강 눈증문(論證文)과 전제(前提)
7. 지식을 활용하라
1. 논술문의 구성(1): 주장, 근거, 사실
1. 정보성과 가치
6. 근거는 확실하게 하라
제9강 학술적 글쓰기
6. 구분과 분류를 생각하라
제5강 묘사문(描寫文)과 생동감(生動感)
제2강 실용적 글쓰기
1. 소논문 작성
4. 구체적이고 간명하라
제1강 책의 의미
다. 직접적으로 말한다면『조연현 평전』(2006)에서『정상으로 통하는 논술』(2007) 이후, 한 발짝 나아가 이제 글 쓰는 방법과 전략에 대한 고민과 다수의 독자층으로 갈 수 있는 발판인 글쓰기에 관한 집필 때문이다.”고 했다.
1. 주술 근접 법칙을 기억하라
3. 고전 속의 한자성어 활용
2. 직유법 활용
필자의 비평적 관심이 문학적 글쓰기에서 논술문으로 이어졌다. 혹시 이 책이 그런 것이 아닌가. “책이 짧을수록 헛소리도 줄어들 것이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 글이 필자의 사고를 드러낸다고 한다면, 이 사고를 이해할 수 있고, 이해하도록 쓰는 것이 아닌가. 글쓴이가 하고픈 말을 글로 쓰고, 읽는 이는 필요에 의해서 읽는다면 책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닌가. 그래서 이 졸저가 이러한 기본적이면서도 원론적인 것에 충실했으면 싶다.
글쓰기를 고민하던 중 불현듯 생각난 것이 ‘글 쓰는 것’과 ‘책 쓰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