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존의 부록(구조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2 17:29본문
Download : 실존의 부록(구조주의).hwp
설명
실존의 부록(구조주의)
제5장의 부록: 반(反)실존주의: 현대의 구조주의
구조주의(structuralism)는 앞에서 설명(說明)한 실존주의의 세 가지 기본 주장(1. 의식의 역할; 2. history의 중요성, 즉 상황 속에 있는 자유가 그 자유를 제한하는 것에 대한 투쟁이라고 해석되는 history를 중요하게 보는 것; 3. 위의 두 주장을 포함하는 기본 주장인 인간의 초월성)을 강력하게 거부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서 철학을 하는 새로운 방식이 나타났다는 것도 사실이다.
< 구조주의와 형식주의 >
1. 구조주의는 현대의 과학적인 논리학의 정신과 언어학의 정신에 따라서 철학적 문제들을 다시 생각한다. 논리철학자인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은 ??논리철학 논고??(Tractatus Logico-Philosophicus)에서 논리란 ‘세계를 짓는 건축술’(architecture du monde)이라고 말한다.실존의 부록(구조주의)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 실존의 부록(구조주의)기타레포트 , 실존의 부록 구조주의
Download : 실존의 부록(구조주의).hwp( 78 )
다. 논리에 따라서 세계를 이해한다는 것은 명제들 속에 포함되어 있는 직관적 내용이나 그 명제들의 체험적 의미를 괄호 속에 넣고, 진술된 것들의 형식을 작성한 뒤에 진술된 것들의 논리적 ‘구조’에만 관심을 갖는 것이다. 이 철학의 대강을 이해하려면, 그 기원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게 좋을 것이다.
< 구조주의와 언어학 >
2. 언어학에는 이런 방법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다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구조라는 말이 현재와 같은 의미를 갖…(생략(省略))
레포트/기타
순서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실존의,부록,구조주의,기타,레포트
실존의 부록(구조주의)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도메나흐(M. Domenach)는 “구조주의의 삼총사, 그리고 여기에 마땅히 추가되어야 할 또 한 사람”이라는 말을 했다. 구조주의는 엄밀한 의미에서 철학의 학파를 형성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이 네 사람은 서로 일치되는 것도 전혀 없고, 취급하는 문제도 다르며, 문제를 취급하는 방향도 서로 다르다. 이들은 인류학자인 레비스트로스(L?vi-Strauss), 정신analysis(분석) 학자인 라캉(Jacques Lacan), 마르크스주의 철학자인 루이 알튀세(Louis Althusser), 그리고 철학자인 미셸 푸코(Michel Foucault)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