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odycat.co.kr 폴틸리히 자서전 > bloodycat1 | bloodycat.co.kr report

폴틸리히 자서전 > bloodycat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loodycat1

폴틸리히 자서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16:34

본문




Download : 폴틸리히 자서전.hwp




실존철학의 지지자들에게나 반대자들에게나 하이덱거의 저작은 훗셀의 `논리학연구(Logische Untersuchungen)`가 나온 이래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실존철학이 독일에 紹介(소개)되었을 때 나는 신학과 철학 사이의 관계를 새로이 이해하게 되었다. 이 같은 分析(분석)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앎의 신율적 성격 자체가 깨달아져야 한다는 것이 필요하다. 또 나는 형이상학이란 이성적 상징을 수단으로 하여 무조건적인 그 무엇을 표현하려하는 것이라고 규정지음으로써 그에 대답했고 신학을 신율적 형이상학이라고 규정지음으로써 그에 대답했다. 마르부르크에서 있었던 하이덱거의 강의라든가 `존재와 시간`의 출판, 그리고 그의 칸트해석까지도 이런 연관에서 볼 때 중요한 것이었다. 신학은 모든 지식에 있어서 숨은 전제가 되어 있는 것을 그 자신의 드러난 대상으로 삼는다.설명




폴틸리히%20자서전_hwp_01.gif 폴틸리히%20자서전_hwp_02.gif 폴틸리히%20자서전_hwp_03.gif 폴틸리히%20자서전_hwp_04.gif 폴틸리히%20자서전_hwp_05.gif 폴틸리히%20자서전_hwp_06.gif
나는 모든 방법론적 강령들을 생각과 존재와 culture에 대한 학문으로서 구획지음으로써 그 물음에 대답했으며 모든 학문들의 체제의 바탕은 의미의 철학(...




나는 모든 방법론적 강령들을 생각과 존재와 문화에 대한 학문으로서 구획지음으로써 그 물음에 대답했으며 모든 학문들의 체제의 바탕은 의미의 철학(... , 폴틸리히 자서전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나는 모든 방법론적 강령들을 생각과 존재와 文化(culture) 에 대한 학문으로서 구획지음으로써 그 물음에 대답했으며 모든 학문들의 체제의 바탕은 의미의 철학(Sinnphilosophie)이라는 점을 견지함으로써 대답했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사상이라는 것이 의미의 터전이자 심연인 절대적인 그 무엇(the Absolute)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해야만 한다. 내가 실존철학을 받아들인 데에는 세 가지 요인이 바탕이 되어 있다아 그 첫째 요인은 헤겔의 본질의 철학에 대한 反應으로서 실존의 철학을 초잡은 쉘링의 마지막 시기에 대해 내가 잘 알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둘째 요인은 실존철학의 사실상의 창시자인 키에르케고르를 제한된 대로 알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이 세 요소들은 마찬가지로 하이덱거 안에 나타나 있다아 어거스틴주의와 뒤섞…(To be continued )

순서

Download : 폴틸리히 자서전.hwp( 83 )


폴틸리히 자서전


다. 이런 방법으로 나는 인간의 일체의 앎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신학의 자리를 얻어내고자 했다. 그 마지막 요인은 니이체의 삶의 철학에 대한 나의 정열이었다. 그리하여 신학과 철학, 종교와 지식은 서로가 서로를 싸안고 있다아 경계선적 입장이라는 지평에서 이것이야말로 그들 사이의 참다운 관계로서 나타나는 것이다.
전체 12,62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loodycat.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