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용어 관념 정리(arrangemen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0 20:48
본문
Download : 문학 용어 개념 정리.hwp
2. 객관적 상관물 vs 감정 이입
객관적 상관물(客觀的 相關物, objective correlative) 이란 감정을 객관화하거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公式(공식) 역할을 하는 대상물을 가리킨다. , 문학 용어 개념 정리인문사회레포트 , 문학 용어 개념 정리
레포트/인문사회
문학 용어 관념 정리(arrangement)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1. 정서적 합일 vs 감정 이입
정서적 합일이란, 어떤 대상이 느끼고 있는 감정을 화자도 동일하게 느낀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감정이입’에서는, 감정이입의 대상이 실제로 화자와 동일한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감정이입에서는 구체적 대상이 감정을 지닌 것…(drop)
문학 용어 개념 정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이것은 특별한 정서를 나타내도록 제시된 `외부사실들`로서, 구체적인 사물들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정서를 환기시키게 됩니다.
Download : 문학 용어 개념 정리.hwp( 35 )






순서
문학 용어 관념 정리(arrangement)
설명
문학,용어,개념,정리,인문사회,레포트
다. 엘리어트에 의하면 이는 어떤 특별한 정서를 나타내도록 제시된 외부적 사실들로, 구체적인 사물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정서를 환기시키게 된다고 한다. 쉬운 예로, 우리가 슬픈 영화를 보면서, 영화 속 주인공의 고통과 슬픔을 마치 내 것인 양 온전히 느끼며 같이 눈물 흘리고 고통스러워하는 것이 바로 정서적 합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정이입은 대상을 유정물로 만들어 시적 화자 자신의 감정을 대상 속에 이입하는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내 슬픔을 표현하기 위해 ‘새가 우는구나’라고 말했다면, 이 때 새는 실제로 슬퍼서 울고 있는 것이 아니잖아요. 화자 자신이 너무나 슬프니까 저 새도 슬피 울고 있다고 착각한 거죠. (아무 감정 없는, 혹은 화자의 감정과는 다른 감정을 갖고 있는) 객관적 대상에 화자의 감정을 그대로 옮겨놓는(이입해놓는) 것이 감정이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대상을 유정물(有情物)로 만들어 자신의 감정을 대상 속에 이입하는 감정 이입(empathy)의 방식과, 주어진 외부 사물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표출하는 정서 환기의 자극제(stimulus)로 삼는 방식의 두 가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따
객관적 상관물이란 시인의 감정을 객관화하거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公式(공식)역할을 하는 `대상물`을 가리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