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관리보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6 09:04
본문
Download : 기록 관리보존.hwp
순서
기록 관리보존 에 대한 내용 입니다.(표,사진 첨부)기록관리보존 , 기록 관리보존법학행정레포트 ,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기록 관리보존
Ⅰ. 기록보존의 역싸
Ⅱ. 국가기록물 관리체계
1. 범국가적 기록관리원칙
2. 근거
3. 국가기록 관리체계 현재상황
Ⅲ. 기록보존기구 현재상황
1. 국립기록보존소
Ⅳ. 서비스
1. 온 라인 레코드 서비스
2. Specialist Information Service
3. 교육
Ⅴ. 지방기록보존소
1. 국립기록 보존소와의 관계
2. 기능
3. 조직표
4. 종류
Ⅵ. 기록보존관리 업무체계
1. 기록물 보존분류
2. 기록물 수집대상기관 및 대상기록물
3. 보존기록물의 재분류·폐기
4. 기록물 활용
영 국
Ⅰ. 기록보존의 역싸
⑴ 1838년 : 의회법에 의하여 국립기록보존소(Public Record Office) 설립
⑵ 1958년 : 공공기록물법(Public Record Act) 제정, 1967년 1차개정
⑶ 초기 국립기록보존소의 장은 고등법관(The Master of the Rolls)에서 공공기록물법 제 정시 행
정적 책임자로 장관급인 대법원장(Lord Chancellor)으로 옮겨졌으며 보존소장(The Keeper)은 차
관급임
⑷ 1902년 : Chancery Lane에 국립기록보존소 설립
⑸ 1977년 : Kew에 新국립기록보존소 설립
Ⅱ. 국가기록물 관리체계
1. 범국가적 기록관리원칙
⑴ 지도감독관계
·중앙행정부 및 재판기록물은 국립기록보존소
·지방행정기록물 및 私기록물은 지방기록보존소
·스코틀랜드 및 북아일랜드 관련기록물은 해당지역 기록보존소에서 관리하는 방식으
로 횡적관계
⑵ 기록물 보존체제
·국립기록보존소, Hayes 기록보존소, 지방기록보존소 등 전국에 산재해서 보존하는
분산체제
2. 근거
⑴ 1838년 : 의회법에 의하여 국립기록보존소 설치
⑵ 1958년 : 공공기록물법 제정
·공공기록물의 범위란 영국 內外의 기록물로,
1)영국정부생산 기록물
2)영국정부 소속기관, 단체 및 위원회에서 생산된 기록물
3)재판관계 기록물은 지방기록물이라도 공공기록물로 定義(정의)
⑶ 1967년 : 1차 개정
3. 국가기록 관리체계 현재상황
⑴ 관리체계도
① 기록보존정책 총주관기관 : 대법원(Lord Chacellor`s Department)
② 자문기구 : 공공기록물 자문위원회(Advisory Council on Public Records)
·의 장 : The Master of the Rolls(기록보존관). 대법…(省略)
Download : 기록 관리보존.hwp( 13 )
다.(표,사진 첨부)
기록관리보존
,법학행정,레포트
기록 관리보존 에 대한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