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 속 북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6 15:24
본문
Download : 열하일기 속 북경.pptx
Download : 열하일기 속 북경.pptx( 63 )
열하일기 속 북경
레포트/감상서평
열하일기 속 북경
열하일기,속,북경,감상서평,레포트






순서
_SLIDE_1_
열하일기 속 북경
_SLIDE_2_
목차
열하일기 저자 박지원
열하일기란
열하일기에서 본 북경
황도기략
북경의 아홉 개 성문 황성구문(皇城九門)
태액지(太液池)
토원산(兎園山)
만수산(萬壽山)
오문(午門)
전성문(前星門)
경화도(瓊華島)
황제의 마구간(御廐)
호랑이 우리(虎圈)
코끼리 우리(象房)
태화전(太和殿)
체인각(體仁閣)
문연각(文淵閣)
천단(天壇)
옹화궁(雍和宮)
_SLIDE_3_
조선후기 실학자겸 소설가
-≪열하일기≫,≪연암집≫,≪허생전≫
이용후생의 실학 강조
당시 허위의식에 빠진 세태 비판
북학의 선두 두자
연암(燕巖) 박지원(1737~1805)
_SLIDE_4_
26권 10책으로 구성.
-1~7권은 여행 경로
-8~26권 보고 들은 것들을 한가지 씩 적은 것.
청나라의 새로 접한 문물과 제도에 대해 상세히 기록한 일기 형식의 글.
단순히 中國의 풍습과 제도 문물만 紹介(소개) 한 것이 아니라,
여정을 통해 삶에 대한 깊은 통찰 제시.
당시 조선 양반 계층의 타락상과 모순 고발.
연암 특유의 유머와 독설이 글 전체를 관통.
열하일기란
_SLIDE_5_
열하일기의 26권
도강록
성경잡지
일신수필
관내정사
막북행정록
태학유관록
환연도중록
경개록
황교문답
반선시말
찰십륜포
망양록
심세편
곡정필담
산장잡기
환희기
피서록
행재잡록
구외이문
옥감야화
금료소초
알성퇴술
앙엽기
동란섭필
황도기략
희본명목
_SLIDE_6_
열하일기에서 본 북경 황도기략(黃圖記略)
황도(黃圖)는 본래 수도를 의미하는 말로 , 여기에선 북경을 지칭.
1)북경의 아홉 개 성문 : 황성구문(皇城九門)
_SLIDE_7_
황도기략(黃圖記略)
2:태액지(太液池)
2:토원산(兎園山)
_SLIDE_8_
…(drop)
설명
열하일기 속 북경 , 열하일기 속 북경감상서평레포트 , 열하일기 속 북경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