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수공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9 14:32
본문
Download : 고려시대 수공업.hwp
이들 수공업관청에서는 판사(判事)·감(監)·경(卿)과 같은 관원이 최고 책임을 맡고 서리가 그를 보좌하는 관리조직을 갖추고 있었다.
고려시대 전기와 후기의 수공업의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분업은 작업장 내부에서 업종별로도 이루어졌고, 생산공정에서도 이루어졌다.
고려시대 전기와 후기의 수공업의 특징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군기감의 …(생략(省略))
다. 수공업장을 설치하고 공장을 두었던 중앙의 관청과 그에 소속된 공장의 업종(業種)을 『고려사』의 「제아문공장별사」(諸衙門工匠別賜)에 의거하여 정리(arrangement)하면 다음과 같다.
관청수공업은 중앙의 관아와 지방관청이 수공업 장(場)을 설치하고 공장(工匠)을 징발하여 제품을 만드는 체제로 운영되었다.
이 기록에는 보이지 않으나 건축과 토목을 건축과 토목공사를 담당한 선공시(繕工侍) 즉 장작감(將作監)에 석공(石工)·목공(木工)·토공(土工)·등의 기술자와 염색을 담당한 도염서(都染暑)에 염료장(染料匠)·염색장(染色匠)등의 공장이 속해있었다.
관청에 소속된 공장의 업종이 여럿인 데서 알 수 있듯이 중앙관청의 수공업은 분업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고려 전기에는 관청수공업과 소수공업이 중심이었으나, 후기에는 상대적으로 관청수공업이 침체되고 소수공업이 해체되었으며 그에 반해 민간수공업과 사원수공업이 발달하였다. 피갑장·모장·장도장 등은 각기 다른 물품을 생산하는 업종단위였지만. 칠장과 연장은 무기와 갑옷을 만드는 과정에서 일정한 세부공정을 맡은 분업장이었다. 이들은 수공업장에 전속되어 있었고, 기술수준과 근무연한 등에 따라 위계를 받았다.고려시대-수공업 , 고려시대 수공업공학기술레포트 ,
고려시대 수공업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레포트
순서
Download : 고려시대 수공업.hwp( 51 )
고려시대-수공업
설명
1.고려 전기의 수공업
2.고려 후기의 수공업
1.고려 전기의 수공업
이 시기의 수공업은 관청수공업·소(所)수공업·사원수공업·민간수공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기술상의 지휘자는 각 업종별로 지유(指諭)·행수교위(行首校尉)·행수부위(行首副尉)·대장(大匠)·부장(副匠)의 위계를 띠고 있던 상층의 공장이었다. 예를 들면, 군기감에는 13개 업종의 공장이 배치되어 있었는데 이들 각 업종은 각기 물품을 생산하는 단위이기도 하였지만, 하나의 물품을 생산하는 공정을 나누어 맡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이들이 작업과정을 지휘하고, 그 아래 다수의 일반 공장들이 소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