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학에서의 퇴계 공부론과 성학십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22:39
본문
Download : 주자학에서의 퇴계 공부론과 성학십도.hwp
퇴계가 주자학의 전개 선상에서의 중심 인물이라는 점은 theory 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주자학에서 인간형성의 theory 과 실제의 문제를 논의하는 공부론 혹은 수양론은 가장 중요한 위치를 점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는 주자학 뿐 아니라 육왕학을 포함한 송대 이후의 신유학의 일반적인 특성(特性)인데 주자학과 육왕학이라는 신유학의 양대 분파는 근본적으로는 공부론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아도 좋다. 인간 형성의 theory 과 실제의 문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퇴계의 공부론은 자연히 그의 심성정론, 경 사상, 심학 등 기존 연구에서 주로 논의되었던 주제를 수렴하면서 그의 사상의 核心을 잘 드러내 줄 수 있고, 따라서 주자학사에서의 퇴계의 위상을 보다 선명히 보여 주는 하나의 실마리가 된다고 판단된다 필자의 견해로 퇴계의 공부론을 성격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자료(資料)는 그의「성학십도」이다. Ⅰ. 들어가는 말
Ⅱ. 퇴계의 공부론과 심학 및 심법
Ⅲ. 공부론서로서의「성학십도」
Ⅳ. 성학십도에 나타난 공부론의 구조와 성격
1. 공부과定義(정이) 核心; 소학과 대학 그리고 경
2. 공부의 본원 및 표준 :〈태극도설〉과〈서명도설〉의 의미
Ⅴ. 퇴계 공부론의 특성(特性)과 주자학사적 위상
〈출처〉
주자학은 궁극적으로 인간형성에 관심을 가진다. 리기심성의 槪念을 중심으로 한 주자학에서의 우주와 인간에 대한 논의는 결국 올바른 인간형성과 나아가 올바른 사회의 실현이라는 실천적이고 교육적인 문제와 관련해서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주자학과 육왕학 각각 내의 조류들 역시 공부론의 차이에 따라서 그 갈래가 형성되어 왔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퇴계의 사단칠정론 및 리기호발론 등의 리기설 및 심성정론, 경 사상, 혹은 심학을 중심으로 그의 주자학사적 위상과 의미를 說明(설명) 해 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성학십도」를 중심으로 퇴계 공부론의 구조와 성격을 고찰하고 나아가 이를 토대로 그 주자학사적 위상을 점검하기로 한다. 그런데 퇴계 공부론은 기존 연구에서 주목했던 바의 그의 심학과 깊은 관련성을 지닌다고 판단되므로, 먼저 퇴계 심학과의 관련성 속에서 공부론의…(drop)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주자학에서의 퇴계 공부론과 성학십도.hwp( 65 )
주자학에서의 퇴계 공부론과 성학십도
설명
up주자학에서의퇴계공부론
주자학에서의 퇴계 공부론과 성학십도
주자학에서의 퇴계 공부론과 성학십도up주자학에서의퇴계공부론 , 주자학에서의 퇴계 공부론과 성학십도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 필자는 이러한 기존의 연구가 지닌 성과와 의미를 존중하되, 특히 공부론의 관점에서 퇴계 사상의 성격과 그 주자학사적 지위를 논해 보고자 한다. 동아시아의 지성사에서 퇴계는 주자학의 수준을 독특한 양식으로써 한 단계 올려 놓는 역할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