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식, 건강을 망치고 세상을 망친다』를 읽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11:40
본문
Download : 『육식, 건강을 망치고 세상을 망친다』를 읽고.hwp
그 1년간 코펜하겐에서의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은 이전 18년간의 평균(average) 사망률보다 34%가 줄었다. 미국인들이 육류소비를 10%만 줄여도 1천2백만t의 곡물로 ‘We are the world’를 실현할 수 있다아 1에이커(약 1,224평)에서 감자를 90.6t 생산할 수 있지만 같은 크기의 땅에서 얻을 수 있는 쇠고기는 74.7㎏으로서 1,000배 이상 차이가 난다. 전세계의 소가 먹는 곡식은 인간 87억명이 필요로 하는 열량에 상당한다.
Download : 『육식, 건강을 망치고 세상을 망친다』를 읽고.hwp( 21 )
육식의 비인도주의적 측면은 식물성 단백질과 비교할 때 극명해진다. 실제 1차대전 직후 연합군이 덴마크에 대해 수입봉쇄 조치를 취하자 덴마크는 가축류에게 먹이는 곡물을 3백만명 국민에게 배급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얼마전 큰 문제가 되었던 광우병이 떠올랐다. 이런 현상 때문인지는 몰라도 보릿고개 시절의 ‘단백질 결핍’과 궁핍을 보상받으려는 듯 각종 육식을 즐겼던 우리 나라도 최근 채식주의자가…(투비컨티뉴드 )
순서
『육식, 건강을 망치고 세상을 망친다』를 읽고
육식, 건강을 망치고 세상을 망친다를 읽고 작성한 독서록 입니다.육식건강을망치고세상을망친다 , 『육식, 건강을 망치고 세상을 망친다』를 읽고서평서평감상 ,
다.
전쟁 때 물과 감자(단백질 constituent 11%)만으로 연명해도 비타민 결핍은 있었을지언정 단백질 부족의 징후를 보이는 사람은 없었다. 초식동물인 소에게 육식 사료를 줌으로써, 다시 인간에게 광우병이라는 부메랑으로 되돌아왔던 것이다.

서평감상/서평
,서평,서평감상
설명
육식건강을망치고세상을망친다
육식, 건강을 망치고 세상을 망친다를 읽고 작성한 독후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