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계통과 형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6 04:04
본문
Download : 한국어의 계통과 형성.hwp
설명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 이 대응 법칙에 예외가 되는 것 : mû, mören, murän, alčin, kol, kuran ( 법칙 6에 어긋남 ) nirai(법칙 7에 어긋남) *tïla, taš(법칙 8에 어긋남) 등. ‘돌(석)’을 의미하는 어휘는 알타이 어족의 제 언어에서 모두 d나 t로 처음 되고, ‘목(경)’을 뜻하는 낱말은 모두 mo-로 처음
어떤 언어학자가 이 4 언어들에 대해 알타이 조어의 음소목록을 작성하려고 한다면 /m/음소를 채택할 수 있음. 이 음소에 관한 4언어가 모두 전적으로 일치되기 때문, 재구(재구)된 음소 앞에는 *표를 붙이는 것이 관례임.
언어의 歷史(역사)적 친족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음운 대응 법칙이 수립되어야 하고, 이 법칙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많은 용레들이 수집되어야 함. 사실 어떤 두 개의 언어에서라도 의미와 음성이 비슷한 낱말을 발견하기란 쉬움. 예컨대 영어의 bad와 페르시아어의 bad, 프랑스어의 feu와 독일어의 feuer는 의미와 소리가 서로 비슷하다 ( 앞의 두 낱말은 ‘나쁜’, 뒤의 두 낱말은 ‘불(화)’이란 뜻임). 이 낱말의 쌍에서 음운 대응법칙을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할지 모르나 영어와 페르시아어에는 어두음이 모두 b로 처음 되고, 음절 말음이 d로 되어 있으며, 의미가 유사한 1음절어를 더 이상 발견하기란 불가능하고, 프랑스어와 독일어에서도 이 점은 마찬가지임. 따라서 이들 언어에서 ‘나쁜’이라는 낱말과 ‘불’이라는 낱말의 유사성은 단순히 우연적인 것이라고 단정할 수 있음.
- 친족 관계가 없는 언어끼리의 이러한 대응 현상은, 위의 보기에서처럼 우연의 일치에 기인하는 경우와, 두 언어가 모두 제3의 언어로부터 같은 하나의 낱말을 차용했거나, 혹은 한 언어가 상대 언어로부터 낱말을 차용한 경우의 두 가지임. 한국어의 ‘삼(삼)’이라는 말과 일본어의 ‘상(삼)’이라는 말이 유사한 것은 모두 china어로부터 차용했기 때문이고, 만주어에 homin이라는 말은 분명히 한…(drop)
한국어의 계통과 형성
* 이 대응 법칙에 예외가 되는 것 : mû, mören, murän, alčin, kol, kuran (...
Download : 한국어의 계통과 형성.hwp( 30 )
* 이 대응 법칙에 예외가 되는 것 : mû, mören, murän, alčin, kol, kuran (... , 한국어의 계통과 형성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