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관무(花冠舞)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09:46
본문
Download : 화관무(花冠舞).hwp
Ⅳ. 안무 도해 說明(설명)
순서
도 해
설 명
1
앉아서 절을 하고 일어선다. 한삼의 소매는 이 춤의 특징으로 팔을 펴거나
굽혀서 오르내리게 하되 위로는 어깨선에서 수평을 유지해야 하고 아래로는 다소곳이 앞에서 모아져야 한다.
2. 춤장단
화관무의 반주로 쓰이는 음악은 “영산회상”의 세영산, 도드리 타령등이다.
- 양손을 위로 뿌리기-
2 …(省略)
다. 이 밖에 김천홍의 국립국악원 무용단 공연. 송범의 국립무용단 한국민속예술단의 해외 공연을 위해 각각 안무, 발표한 바 있다
Ⅲ. 형식
1. 무 복
화관무의 무복은 머리위에 화관을 얹고 조선 시대의 형식적인 무복의 하나 였던 「몽두리」를 현대 감각에 맞추어 고쳐 만든 광수포(廣袖袍)에 가슴띠(胸帶)와 통치마를 걸치고 손목에는 1미터 가량의 여섯가지 색상의 넓은 한삼을 끼운 차림이다.
화관무(花冠舞)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기타,레포트
Download : 화관무(花冠舞).hwp( 86 )
1930년 2월 제1회 귀국공연 무대에서 최승희의 “영산무(靈山舞)”, 1941년 10월 동경(東京)에서 개최된 최승희 무용 종합 발표회에서의 ... , 화관무(花冠舞)기타레포트 ,
순서
설명
1930년 2월 제1회 귀국공연 무대에서 최승희의 “영산무(靈山舞)”, 1941년 10월 동경(東京)에서 개최된 최승희 무용 종합 발표회에서의 ...
레포트/기타
1930년 2월 제1회 귀국공연 무대에서 최승희의 “영산무(靈山舞)”, 1941년 10월 동경(東京)에서 개최된 최승희 무용 종합 발표회에서의 “궁녀무(宮女舞)”, 1947년 11월 평양에서 발표된 “고전형식(古典形式”등에서 공통의 흐름을 지닌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후 화관무는 1959년 5월 원각사 공연에서는 “한삼(汗衫)에의 회정(懷情)”으로, 1970년 5월 대판 엑스포 공연에서는 “수연(壽宴)”으로 표기하여 공연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