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제1기 조선 후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16:12
본문
Download : 중세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제1기 조선 후기).hwp
-유몽인의 <임진>(臨津): 명분론의 사고방식을 버리고 현실을 직시, 격전지를 찾아가서 지은 시, 세상에서 알아주지 않는 하급 무장 홍봉상의 원혼을 위로함
-권필의 <적퇴후입경>(賊退後入京): 피란을 갔다가 적이 물러난 뒤에 서울로 돌아와 주춧돌만 황량하게 남아 잇는 궁궐을 보고, 처참한 전란이 빨리 끝나기를 바라는 마음을 간절하게 나타냄
허균의 <노객부원>(老客婦怨): 노파의 하소연을 들은 대로 충실하게 받아 적은 시
-이안눌의 <동래사월십오일>(東萊四月十五日): 임진왜란이 끝난 다음 동래부사가 되어 부임한 마을에서 늙은 아전에게 들은 이야기를 적음
▷국문시가는 절실한 표현을 갖추지 못하였고, 전쟁으 양상을 직접 다루거나 그 참상을 노래하지 않고 위기를 맞이한 내면적인 고민을 토로하는데 머물렀다…(To be continued )
다. 그런데 수난을 자기 목소리로 노래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고사에 의거해 한탄이나 늘어놓고 작품다운 표현을 하지 못한 시가 대부분이다.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중세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에 상대하여
순서
중세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제1기 조선 후기)
Download : 중세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제1기 조선 후기).hwp( 42 )
레포트/인문사회
중세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에 대해서조선문학 , 중세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제1기 조선 후기)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조선문학
5. 시가를 통한 체험 변용
▷당시의 사대부로서는 충격에 대한 反應(반응)을 나타내는 가장 익숙한 방법이 한시를 짓는 것이었고, 그 수도 헤아릴 수 없이 많다.